본문 바로가기

Git

Git 설치 및 Github 회원가입

Git 설치


가장 먼저 본인의 컴퓨터에 Git이 설치되어 있는지 먼저 확인해봐야 합니다.
각자 터미널의 열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시고 나오는 결과 창이 아래와 같이 Git 사용 설명이 나오지 않는다면 Git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git

git 명령어를 입력했을때 터미널 출력

Git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사이트 접속 혹은 google에서 git 설치를 입력하여 나오는 아래와 같은 주소로 접속하여 각자의 환경(윈도, 리눅스, 맥)에 맞는 Git 다운로드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

 

Git 다운로드 주소 : 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git-gui, gitk), but there are several third-party tools for users looking for a platform-specific exp

git-scm.com

Git downlaods 사이트 사진
Git 설치 검색 사진

저의 경우 Mac의 환경에서 개발을 진행 중이라 해당 환경을 기준으로 글을 작성하지만 전체적인 흐름이 크게 다르진 않아서 참고해서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Git mac 환경 다운로드
Git 설치

이후 터미널 창에서 git을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여러분은 Git 설치를 성공적으로 마친 상태입니다.

git 명령어를 입력했을때 터미널 출력

GitHub 회원가입


GitHub는 이전 포스트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Git으로 버전 관리를 진행한 코드를 올릴 수 있는 클라우드 저장소입니다.

Git을 저장할 수 있는 클라우드 저장소는 GitHub 외에도 더 존재하지만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토리지가 GitHub이기 때문에 저는 GitHub를 기준으로 포스트를 작성하겠습니다.

대표적인 Git 클라우드 저장소의 종류 및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Git 클라우드 사이트 특징 주소
GitHub 사용자 4천만, 1억 개 이상의 소스코드 저장소를 보유 중인 명실상부 최대 사이트 https://github.com
GitLab 설치형 Github를 목표로 나온 서비스. 본질은 설치형 제공이지만 현재 호스팅 서비스도 제공 https://about.gitlab.com
BitBucket 5인 이하 구성의 팀이면 무료 저장소 제공 https://bitbucket.org

GitHub 사이트 : https://github.com 

에 접속하여 우측 상단의 Sign Up으로 이동

 

이후 나와있는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이메일 인증까지 끝내면 이제 여러분은 GitHub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Github 회원가입
GitHub 이메일 인증

이제 여러분은 Git 과 GitHub를 사용할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본격적으로 Git의 사용법에 대해 진행하겠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ranch란?  (0) 2023.02.03
GItHub에 코드 올리기(원격저장소에 저장하기)  (0) 2023.02.03
Git 사용자 정보 저장 & Git commit  (0) 2023.02.03
Git 명령어 저장  (0) 2023.02.03
Git 초기화 & 저장소 만들기(로컬)  (0) 2023.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