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

Git 초기화 & 저장소 만들기(로컬)

Git 초기화


내 컴퓨터에서 Git을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1. 직접 저장소를 만드는 것
2.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장소를 가져오는 것

 

지금부터 위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해 Git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직접 저장소를 만들기

 

직접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은 내컴퓨터의 특정 폴더를 만들고 해당 폴더를  저장소로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첫 번째로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를 만든다.

저는 Git 저장소로 활용할 cat 폴더를 만들어보겠습니다.

mkdir cat

mkdir 명령어를 통해 폴더를 만들 수 있습니다.

Git 초기화 진행

git init

 

cat 폴더 생성 및 Git 초기화

이제 cat 폴더를 Git로컬 저장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git 폴더

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면 이렇게 숨김 상태로. git 폴더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git 폴더에서 이제 앞으로 사용할 git 명령어 들과 원격 저장서 및 기타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습니다.(없습니다 우리가 직접 사용하는 일은 없습니다)

 

TIP)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한 폴더에서는 하나의 git 로컬 저장소만 유지해야 합니다!!(매우 중요)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장소를 가져오기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장소를 가져오는 것도 git 저장소를 사용하는 것은 같습니다. 

단지 다른 사람이 git init을 통해서 만든 저장소를 공유받아 사용하는 것일 뿐이고 이렇게 받은 저 정소에도. git 폴더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번에는 google에서 서비스 중인 firebase 관련 예제 모아둔 저장소를 가져와 보겠습니다.

 

git 홈페이지에서 firebase 검색

여기서 들어가고 싶은 저장소 아무 곳에나 들어가면 됩니다. 저는 웹 관련 예제를 모아둔 firebase/quickstart-js 저장소로 들어보겠습니다.

 

이후 사진에 빨간 박스 안에 code를 클릭하고 아래 주소를 복사해주세요

이렇게 url을 복사하고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로 이동하면 됩니다. 저는 cat 폴더 바로 옆에 dog 폴더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이후 git clone (복사한 주소)를 이용하면 다른 사람의 저장소를 받아올 수 있습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firebase/quickstart-js.git

 

git clone 결과 화면

 

이렇게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장소에도. git 폴더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모든 포스트 에서 사용한 Git 명령어들은 아래 포스트에서 정리해두겠습니다.

https://project-injeolmi.tistory.com/3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ranch란?  (0) 2023.02.03
GItHub에 코드 올리기(원격저장소에 저장하기)  (0) 2023.02.03
Git 사용자 정보 저장 & Git commit  (0) 2023.02.03
Git 명령어 저장  (0) 2023.02.03
Git 설치 및 Github 회원가입  (0) 2023.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