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

(7)
Git merge(병합) Git merge는 각자 작업한 내용을 하나의 branch로 합치는 과정입니다. 이 merge을 하는 과정에서는 크게 두가지 상황이 나오게 됩니다. 1. master branch와 합병하려는 A branch에서의 A branch 에만 변화가 있을 경우 2. master branch와 A branch 모두 변화가 있을 경우 master branch와 합병하려는 A branch에서의 A branch 에만 변화가 있을 경우 이 경우 해결이 매우 간단합니다. master branch에서 A branch로 합병을 시행하면 됩니다. 저번 포스트에서 만든 cat branch에 new_cat.html이라는 새로운 파일을 추가하고 해당 내용을 master branch로 merge 시켜보겠습니다. // new_cat.ht..
Git branch란? 프로그램을 개발하다 보면 동일한 코드를 동료 개발자들과 공유하고 같이 개발하게 됩니다. 이러면 같은 코드라 하더라도 개발자마다 코드를 작성하게 되어 서로 다른 수많은 버전이 만들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깃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브랜치라는 것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Git의 기본 branch는 모두 master 브랜치로 설정되어있습니다.) 이러한 branch를 복사하여 만든 이 후 각자 프로그램의 기능들을 개발하고 다시 하나로 합치는 방법으로 Git을 이용한 협업이 가능합니다. Git Branch 확인하기 Git Branch 확인 명령어 git branch // 로컬 저장소에서 가지고있는 branch 확인 git branch -r // 원격저장서(github) 에서 가지고있는 브랜치 확인 gi..
GItHub에 코드 올리기(원격저장소에 저장하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로컬 저장소에 저장되어있는 내용들을 GitHub에 올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itHub에 올리기 혼자서만 개발을 진행한다면 로컬저장소로만 버전 관리를 해도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사람과 협업하여 같이 버전 관리를 진행한다면 만들어둔 코드를 올리는 것이 필수입니다. GitHub에 저장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1. 내 로컬 저장소에 GitHub 주소 알려주기 2. 그동안 만든 commit을 밀어넣기 내 로컬 저장소에 GitHub 주소 알려주기 로컬 저장소에 GitHub 주소를 알려주기 위해서는 우선 GitHub에서 저장소를 만들어야 합니다. https://github.com/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
Git 사용자 정보 저장 & Git commit 이번에는 git 계정 정보 저장 및 저번 포스트에서 만든 로컬 저장소에 간단한 코드를 작성하고 해당 코드를 저장하여 버전 관리를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Git 사용자정보 저장하기 글로벌 변수로 저장(모든 저장소)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로컬 변수로 저장(해당 저장소만 이용) git config user.email "이메일" git config user.name "이름" git 정보는 이렇게 이메일과 이름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코드 작성 안녕하세요 저는 슈뢰딩거의 커피고양이입니다. 여러분들이 만든 로컬 저장소에 간단한 코드를 입력해주세요 저처럼 입력해도 좋고 여러분들만의 코드를 ..
Git 명령어 저장 Git 초기화 git init Git 저장소 복사 git clone https://github.com/firebase/quickstart-js.git Git 사용자 정보 저장 글로벌 변수로 저장(모든 저장소)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로컬 변수로 저장(해당 저장소만 이용) git config user.email "이메일" git config user.name "이름" Git 저장할 파일 선택하기 git add cat.html //(특정 파일선택) git add . //(모든 파일선택) Git 변경사항 저장하기 git commit -m "메세지" Git Branch 확인하기 git branch // 로컬..
Git 초기화 & 저장소 만들기(로컬) Git 초기화 내 컴퓨터에서 Git을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1. 직접 저장소를 만드는 것 2.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장소를 가져오는 것 지금부터 위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해 Git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직접 저장소를 만들기 직접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은 내컴퓨터의 특정 폴더를 만들고 해당 폴더를 깃 저장소로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첫 번째로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를 만든다. 저는 Git 저장소로 활용할 cat 폴더를 만들어보겠습니다. mkdir cat mkdir 명령어를 통해 폴더를 만들 수 있습니다. Git 초기화 진행 git init 이제 cat 폴더를 Git로컬 저장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면 이렇게 숨김 상태로. git 폴더가 만들어..
Git 설치 및 Github 회원가입 Git 설치 가장 먼저 본인의 컴퓨터에 Git이 설치되어 있는지 먼저 확인해봐야 합니다. 각자 터미널의 열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시고 나오는 결과 창이 아래와 같이 Git 사용 설명이 나오지 않는다면 Git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git Git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사이트 접속 혹은 google에서 git 설치를 입력하여 나오는 아래와 같은 주소로 접속하여 각자의 환경(윈도, 리눅스, 맥)에 맞는 Git 다운로드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 Git 다운로드 주소 : 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